구분 소재지 배향위(配享位)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洛東書院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禹吉生

洛東書院 대구광역시달서구 상인동 禹玄寶

洛東書院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禹拜善

崧陽書院 경기도 개성군 禹玄寶

丹巖書院 충복 단양군 禹 倬

易東書院 경북 안동군 예안면 禹 倬

龜溪書院 경북 안동군 예안면 禹 倬

丹山書院 경북 영덕군 영해면 禹 倬

德洞祀 대구광역시 대덕산 禹 倬

三節祀 경기도 평택군 禹南陽

金伊祀 경기도 장단군 禹玄寶

尙德祀 충북 보은군 회북면 애곡리 禹 倬

德川祀 충북 청원군 문의면 禹愼言

二友祀 전남 담양군 창평면 禹惟一

冠南祀 전남 장흥군 대덕면 禹 倬

德巖祀 전남 완도군 고금면 덕암리 禹 倬

嘉樹祀 경남 창녕군 영산면 禹玄圭

德巖祀 경남 함양군 禹 績

花南祀 경남 함양군 안의면 禹治準

鷄林祀 경남 함양군 안의면 禹錫一

梨湖祀 禹昌恪

역동서원

우탁

경북 안동군 임하면 송천동 1570년(선조 3)창건 2월 중정일 9월 중정일

단암서원

우탁

충북 단양군

단산서원

우탁

경북 영덕군 1689년(정도 13)창건 3월17일

구계서원

우탁

경북 안동1696년(숙종 22)창건

낙동서원

洛東書院

우탁

禹 倬

대구직할시 달서구 상인동 3월중정일 9월중정일

숭양서원

우현보

경기도 개성

덕암사

우탁

전남 완도군 고금면 덕암리

상덕사

우탁

충북 보은군 회북면 애곡리

관남사

우탁

전남 장흥군 대덕면

금이사

우현보

경기도 장단

덕동사

우현보

대구직할시 대덕산

이호사

우창각

가수사

우현규

경남 창녕군 영산

덕암사

우적

경남 함양

화남사

우치준

경남 함양군 안의

계림사

우석일

경남 함양군 안의

이우사

우유일

전남 담양군 창평

덕천사

우신언

충북 청원군 문의

삼절사

우남양

경기도 평택

역동서원
ㆍ주소 : 안동시 송천동 388번지
ㆍ전화 : 054-820-5218
ㆍ관리기관 : 역동서원
상세설명
역동서원은 안동 지방에서 최초로 창건된 서원으로, 1567년(명종 22)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과 지방 유림의 공의로 우탁(禹倬;1263∼134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고 위패를 봉안하였으며, 1684년(숙종 10)에 역동(易東)이라 사액되었다.

그 후 1684년(숙종 10년)에 "역동"이라 사액되어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69년 현 위치에 복원하였다.

대개 서원의 명칭은 서원 건립 지역의 명칭이나 혹은 봉향되는 그 명현의 호를 사용하는 것이 통례인데 본 서원의 경우에는 지명이나 호와 관계없이 "역동"이라 붙여지고 있다. 이는 퇴계 선생께서 우탁 선생이 역을 해득하여 이 땅에서 강학하여 교수하였는데서 명명하였다고 한다.

원래 이 서원의 위치는 낙동강 상류인 "오다머"에 창건하였으나 1868년에 훼철되었고 1966년 지방 유림의 발기로 구계서원 당회와 도산서원의 당회에서 중간을 결의하고, 1969년 현 위치에 서원을 복원하였다. 서원의 옛터인 지삼의는 안동댐의 건설로 수몰되었으며, 그 옛날 존현양사의 전당이 창건되었던 역동 그 자리에는 유허비만이 이건 되어 남아 있다.

경내의 건물로서 묘우인 상현사에는 고려성균관좨주단야우선생이라 쓰인 위패가 모셔져 있다. 묘우의 구조는 정면 3칸, 측면 2칸 집이며, 지붕은 와가로써 맞배지붕에 풍판이 설치되어 있다. 묘우 앞에는 신문이 설치되어 있고 묘우 내부에는 마루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사, 교의, 향상이 놓여있다.

서원의 강당으로 쓰이는 명교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며, 동서 양쪽에는 1칸의 협실을 내고 중앙 3칸은 대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 역동서원이란 현판이 걸려있고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강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전사청은 제수를 장만하여 보관하는 곳으로 1칸 건물이며, 주소는 서원을 수호하는 고지기가 거처하는 곳이다.

동, 서재는 원생들이 기숙하면서 강학하던 곳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로 지붕의 형태는 맞배지붕이다. 동재는 사물재, 서재는 삼성재로 명명하고 있다. 조선조에 들어와 역동의 학문과 덕행을 흠모하였던 퇴계 선생이 주창하여 구택 근처에 역동서원을 창건하였다. 그 뒤 역동의 본향인 단양에 단암서원,최초의 사관지였던 영해에 단산서원, 그리고 안동에 구계서원 등이 창설되어 향사하였다.

약도

주소 : 경북 안동시 송천동 안동대학교 내

전화 : 054-820-5248 (국립 안동대학교 박물관)

017-533-0750 (학예연구사/문학박사 권두규)

인산정사(仁山精舍,丹陽 禹氏)

소재지 : 달서구 상인동 1022

禹成圭(우성규, 1829-1905)의 자는 聖錫(성석), 호는 景陶齋(경도재, 退溪先生(퇴계선생)을 景慕(경모)한다는 뜻으로) 이다.


景陶齋(경도재)는 丹陽(단양) 禹氏(우씨)의 入鄕祖(입향조)인 定略將軍(정략장군) 禮賓寺主簿訓練院習讀(예빈사주부훈련원습독) 奠(전)의 12世孫(세손)으로 玄風(현풍), 盈德(영덕), 禮安(예안), 丹陽(단양), 林川(임천)군수와 寧越(영월), 漆谷府使(칠곡부사)를 역임 가는 곳마다 學政(학정)이 解弛(해이)함을 통탄하면서

鄕校(향교)를 修築(수축)하여 先賢尊慕(선현존모)에 노력한 牧民官(목민관)으로 칭송을 받았다 慶尙右道(경상우도) 監試副試官(감시부시관)일 때는 엄정한 銓衡(전형)으로 주위의 敬服(경복)을 받았으며

高宗(고종) 29년(1892) 正三品(정삼품) 堂上官(당상관)인 敦寧府都正(돈녕부도정)에 제수되었으나 국운이 기울자 벼슬을 버리고 향리로 내려와서 時會(시회)와 鄕飮酒禮(향음주례)로 儒脈(유맥)을 잇는데 힘을 썼다.

仁山精舍(인산정사)는 先生(선생)을 사모한 後學士林(후학사림)이 1905년 德洞(덕동)서원의 옛자리에 건립한 것으로 대지 123평에다 방 2칸, 대청 2칸, 10평의 팔작지붕 瓦家(와가)로 뒷뜰에는 1955년에 세운 景陶齋禹成圭先生紀蹟碑(경도재우성규선생기적비)가 있다.

또 精舍(정사) 블록담밖 바로아래 지금은 없어진 德洞書院(덕동서원)의 遺址碑(유지비)가 있는데 肅宗(숙종) 戊子(무자, 1708)에 創建(창건)하여 養浩堂(양호당) 禹玄寶(우현보)와 月谷(월곡) 禹拜善(우배선)을 享祀(향사)하였다가 高宗 辛未(고종신미, 1871)에 훼철되었음을 알리고 있다.

숭양 서원

경기도 개성시(현재의 개성직할시) 원동에 있는 서원.

1573년(선조 6)에 유수 남응운(南應雲)이 유림세력과 협의,

정몽주(鄭夢周)와 서경덕(徐敬德)의 충절과 덕행을 추모하고자 선죽교 위쪽에 문충당(文忠堂)을 창건하면서 비롯되었다.

1575년에 ‘숭양(崧陽)’이라고 사액되어 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1668년에 김상헌(金尙憲), 1681년에 김육(金堉)과 조익(趙翼),

1784년에 우현보(禹玄寶)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23년(순조 23)에 유수 김교근(金敎根)과 김이재(金履載)가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중건하고 사우와 강당을 중수하였으며,

1930년에 우상훈(禹相勳)이 보수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사우(祠宇)·강당·동재·서재·신문(神門)·고자실(庫子室) 등이 있으며,

사우에는 정몽주를 주벽(主壁)으로 하여 좌우에 서경덕·김상헌·김육·조익·우현보의 위패가 배향되어 있다.

이 서원은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일 만큼 개성지역을 대표하는 서원이었으며,

숙종·영조·고종이 개성에 행차하였을 때에는 특히 견관치제(遣官致祭)하는 은전을 받았고,

영조는 친필로 어필사액(御筆賜額)을 하사하기도 하였다.

유물로는 영조어필게액기(英祖御筆揭額記)를 비롯하여 어제시·중수기·상량문 등의 게판이 보관되어 있다.

숭양서원 사진

Posted by 9brothers
,